본문 바로가기
모으기/앱테크

【앱테크】2023년 수익 결산 (연 40만원)

by 전업무직 2023. 12. 31.
728x90
반응형

 

목차

    설문류

    한국 리서치 : 28,550원

    보통 설문앱들은 최소 출금액이 있어 일정 이상 쌓지 않으면 받지 못하는데 한국 리서치는 매달 적립금을 바로바로 입금해 줘서 좋다. 수익 자체는 원래 낮은 편에 속했는데 올해는 9월 이후로 수익이 확 올라서 설문류 중에서 1위.

     

     

     

    캐시미션 : 23,010원

    처음에는 앱테크 보다 알바 느낌으로 기여하는 재미가 있었는데 그런 류의 미션은 잘 없기도 하고 막상 하려고 마음먹었다가도 통과 조건이 너무 까다로워서 대부분 튜토리얼에서 포기해 버렸다. 결국은 그냥 뉴스 보기로 다른 앱테크처럼 썼는데 1일 100건에서 20건으로 줄어든 이후로 최소 출금액 2,000원 채우는 것도 힘들어졌다. 그나마 최근에 했던 미션이 건당 153원에 300건을 처리해서 꽤나 큰 수익이 났는데 내년 1월 지급이라 올해 수익에선 제외했다.

     

     

     

    갤럽 : 21,520원

    가장 먼저 시작한 앱테크라 누적액이 제법 된다. 설문류가 다 그렇지만 비정기적이고 특히나 갤럽은 출석체크 같은 미션조차 없어서 편차가 심하다. 그리고 현금으로 받을 수 없는 것도 아쉬운 부분. 처음에는 그냥 피자나 치킨 기프티콘으로 바꿔 먹었는데 요즘에는 신세계 상품권으로 받아 니콘내콘에 팔고 있다. 

     

     

     

    엠브레인 : 20,000원

    최소 출금 금액이 10,000원으로 조금 높은 편이지만 현금으로 받을 수 있고 설문도 꽤 자주 오는 편이라 무난.

     

    추천인

    https://bit.ly/4ayoadz

     

     

     

    서베이링크 : 18,000원

    오늘 신청한 11,000원은 1월 지급이라 뺐다. 설문 전에 하는 개인조사(?)에서 탈락하는 일이 많아서 출석체크로만 거의 포인트를 채우다가 최근에 해외 조사도 적극적으로 참여를 해봤더니 생각보다 포인트를 금방 쌓을 수 있었다.

     

    추천인

    88DBC4

    https://www.surveylink.co.kr/account/signup?reCode=F14AC85A1FD244A29D110BB332ADC283

     

     

     

    패널나우 : 12,000원

    최근에 시작한 설문 앱. 최소 출금액이 2,000원으로 낮고 출석체크나 퀵폴 등을 통해서도 쌓을 수 있어서 마음에 든다.

     

     

     

    오베이 : 10,000원

    최소 출금액이 10,000원으로 높은 편인데도 불구하고 설문이 전혀 오지 않는다. 보통 설문 앱은 출석 체크가 없으면 밖에 꺼내놓지도 않고 설문 알림이 왔을 때만 보는데 오베이는 알림이 와도 100원짜리 개인정보 입력 같은 것들 뿐이라 그때그때 열어보면서 제휴 설문까지 다 참여를 하는 식으로 써야 하는 걸 지도 모르겠다.

     

     

     

    헤이폴 : 9,000원

    LPoint → 컬쳐랜드 →  페이코를 거쳐 현금화할 수 있다. 개인조사에서 컷 당하는 경우가 많아서 거의 출석체크나 퀵폴로 포인트를 채운다.

     

    추천인

    bLjFrFm

     

     

     

    그 외

    모니모 : 96,195원

    2023.12.08 - [모으기/앱테크] - 【모니모】월 평균 7,617원. 추천인 코드 : GM13IT6

    2023.12.27 - [모으기/앱테크] - 【모니모】아듀, 2023! 한해 돌아보기!

     

    이미 몇 번이고 소개한 앱테크계의 GOAT. 귀찮으면 이거 하나만 해도 된다. 12월은 중간 미션으로 보험 금액 조회 하기 같은 게 나왔는데 현재 가입한 보험이 아무것도 없어서 스페셜 젤리를 못 받아 구멍이 났다. 현금화할 수도 있지만 전부 펀드에 넣어뒀다.

     

    추천인

    GM13IT6

     

    https://www.monimo.com/w/applink/WPFMAL0104M0?cmpId=M231091253&frndInvtCd=GM13IT6&invateDate=20240104

     

     

     

    KB : 30,047원

    같은 그룹이라 KB Pay, KB손해보험, KB M-able 이렇게 3개가 포인트리(현금화 가능)를 공유한다. 손보는 매일 고정 30원. Pay는 출석과 퀴즈인데 최근에는 출첵 플러스라는 게 생기면서 수익이 조금 더 늘었다. 페이북에서도 똑같은 게 생겼던데 그냥 평범한 광고 보기인데 10원 이상 주기도 해서 꽤나 달달하다. 마블은 출석 30원 고정에 꿀 포인트로 교환할 수 있는 주식 쿠폰도 은근 쏠쏠한데 그것까지 포함시키면 +16,000원이다.

     

     

     

    컬쳐랜드 : 24,190원

    소위 말하는 문화상품권 앱인데 매일 뉴스 10건과 룰렛 추첨 6회를 할 수 있다. 대부분 1, 2원이지만 간혹 만원, 천원 대박이 터지곤 한다. 2020년 9월부터 시작해서 약 39개월 간 만원 2회, 천원 17회이니 대충 2달에 1번 꼴인가 보다. 올해도 만원 1회가 나와서 상위권에 들게 되었다. 사실상 문상 그 자체인데 막상 쓸 곳이 없어서 원스토어 포인트와 같이 폰게임 월정액 사는 용도로 썼는데 최근에 페이코 충전을 통해 현금화할 수 있다는 걸 알게 되었다. 포인트 전환이 아닌 충전을 한 뒤에 페이코 포인트를 사용하고(네이버페이 100 전환도 가능) 환불 처리를 하면 된다. 

     

     

     

    네이버페이 : 21,981원

    쓸 수 있는 곳이 많아서 사실상 준 현금. 마우스가 고장 나거나 하면 모아뒀던 네이버 페이로 사곤 한다. 스팀 게임도 살 수 있는 걸로 안다. 그래도 진짜 현금은 아닌 터라 주식을 못 사는 게 흠이다.

     

     

     

    토스 : 21,800원

    5,000 포인트 이상 출금 시 수수료 무료 혜택이 없어지고 10%나 떼어간다. 무료 출금 쿠폰이라는 게 존재는 하는 모양인데 멤버십에 가입해야 매달 하나씩 준단다. 신규 유입은 어느 정도 한계에 도달하여 슬슬 만년 적자에서 탈출하기 위해 수익화를 꾀하는 게 아닌가 싶다.

     

    주식은 요즘 증권사마다 있는 모으기 기능의 이벤트 때문에 설정해 둔 매주 1달러를 그대로 놔뒀다. 그렇다고 계속 추가 입금을 하고 있진 않고 52주 이후로는 수익 난 걸 팔아서 무한동력으로 돌리고 있다.

     

     

     

    페이북 : 18,678원

    현금화 가능한 무난한 앱테크. 주식 상승 하락 맞추기 챌린지를 하곤 하는데 전날 마감하는 게 아닌 당일 장 중간까지 선택을 변경할 수 있기 때문에 출석체크 하듯이 하면 꽤나 높은 확률로 맞출 수 있다. 다만 꾸준히 챌린지를 여는 것은 아니라는 게 문제.

     

     

     

    핀크 : 15,524원

    마이데이터를 바탕으로 한 각종 챌린지로 딱히 손 가는 것 없이 돈을 벌 수 있어서 꽤나 괜찮았는데 챌린지 숫자가 몇 개인지 내용이 뭔지에 따라 수익이 많이 차이 난다.

     

     

     

    LPoint : 14,933원

    LPoint 앱 자체 앱테크는 동영상 광고 보고 포인트 쌓기라 개인적으로는 극불호인데 라임 설문과 포인트를 공유하기 때문에 하는 김에 같이 하고 있다. 페이코를 거쳐 현금화할 수 있다.

     

     

     

    우리 WON : 7,063원

    돈이 너무 얼마 안 돼서 이걸 왜 하나 싶어 그만뒀다가 오래간만에 다시 해보니 생각보다 더 나오기도 하고 우리 WON 멤버스 외에 우리 WON 뱅킹에 있는 앱테크까지 같이 하니 나름 괜찮은 것 같다. 수수료 없이 현금화 하기 위해선 일단 우리 은행 계좌를 거쳐야 한다.

     

     

     

    신한 SOL : 6,234원

    딱히 신한이랑은 연이 없다가 이제는 앱테크에도 많이 익숙해져서 영화 보며 양손에 폰, 태블릿으로 동시에 하는 경지에 이르러 이제는 좀 더 늘려도 되게 싶어 찾게 됐다. 이번에 신한 슈퍼 SOL 인가를 새로 내면서 받은 5,000원을 빼면 기대 수익은 생각보다 얼마 안 될지도 모르겠다. 마찬가지로 현금화에 신한 은행 계좌가 필요하다.

     

     

     

    카카오 뱅크 : 5,823원

    저금통이란 게 10%를 준다길래 시작했는데 8%가 되어버린 카카오뱅크다. 최근에는 한 달 적금이란 게 나와서 연 8%를 준다고 호들갑을 떠는데 실제 연 환산으로는 4.2% 수준이라고 한다. 딱히 좋아하거나 응원하고 싶은 기업이랄 건 없고 혜택 따라 움직이는 인간이라고 생각해 왔는데 도무지 카카오만큼은 정이 안 간다. 그래도 광고 보기로 수익이 꽤 나와서 앞으로도 쓰긴 계속 쓸 것 같다.

     

     

     

    하나머니 : 1,535원

    처음 앱테크를 시작했을 때는 거의 메인 수준으로 썼던 앱인데 가계부를 적으면서 찬찬히 분석을 해보니 손이 많이 가는 것에 비해 수익은 별로라 한동안 안 썼다. 다만 매일 하는 앱테크 외에도 비정기적으로 하는 이벤트들이 있는데 아무래도 꾸준히 들어가서 확인을 해주지 않으면 놓치기 쉬워서 결국엔 매일 들어가 확인도 할 겸 앱테크도 다시 하기로 했다. 수익이 덜 나더라도 가능한 손이 안 가는 것들 위주로 하고 있다.

     

     

     

    케이뱅크 : 368원

    파킹통장을 토스에서 케이뱅크로 바꿔 쓰고 있는데 출석체크나 이체 보너스가 생각보다 얼마 안 된다. 저축은행이라는 단어 때문에 저항감이 심했는데 돈 앞에 장사 없다고 조만간 OK 저축은행으로 바꾸지 않을까 싶다. 

    728x90
    반응형

    댓글